Relaxation
아는게 '약' 이다 _ 제2의 혈관 _ 림프
ryumosa
2021. 6. 9. 13:17
제2의 혈관 _ 림프
#. 아침 5분, 저녁 10분 림프마사지
-. 림프 마사지는 림프관을 직접 마사지하여 림프액의 빠른 순환을 돕는 것
1. 귀밑 : 얼굴, 두피, 뇌의 출구로 귀밑에 있다.
2. 목 : 귀밑 림프절에서 온 림프와 목 주변 근육에서 오는 림프가 흐르는 곳으로 목 양옆에 있다.
3. 쇄골 : 쇄골 위 움푹 들어간 곳에 있다.
온몸에 흐르는 림프가 심장으로 가기전에 모이는 곳으로 중요한 림프절이다.
4. 겨드랑이 : 팔, 가슴, 등, 배꼽 위 림프가 모이는 곳으로 겨드랑이 아래에 있다.
5. 복부 : 배 안쪽에 장기와 장기 주변의 림프가 모이는 곳으로 장기 주변에 있다.
6. 서혜부 : 다리, 하복부, 주변 생식기 림프가 모이는 곳으로 하체의 주요 림프절이다.
7. 슬와 : 무릎 뒤쪽에 있다. 발목에서 무릎까지의 림프가 모인다.
#. 림프 순환이 중요한 이유
인체가 독소에 노출됨에도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림프계가 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혈액은 동맥, 모세혈관을 통해 인체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한다.
이때 혈액 중 일부가 새어 나가(세포간질액) 세포가 만들어낸 부산물을 수거하고 다시 혈관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혈관을 빠져나왔던 혈액 전부가 회수되지 않고 남아 있는 세포간질액을 림프관이 해결한다.
세포 사이에 뻗어 있는 가느다란 림프관은 혈관이 미처 흡수하지 못한 액체(노폐물, 바이러스,백혈구)를 흡수한다. 이 액체가 림프액이다.
림프 시스템은 대부분 목에 있는 림프절로 연결되는데,
림프선은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과 피부 사이에 위치하는 천부 림프선과 근막 아래 위치해 있는 심부 림프선으로 나뉘는데 체내에서 천부 림프선이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높다.
얼굴의 경우 얼굴 중앙에서 바깥쪽으로, 귀에서 귀 밑으로, 귀 밑에서 목을 따라 쇄골뼈로 연결된다.
발 끝에서 시작된 림프관은 아래에서 위로 이동해 사타구니에 모인다.
내장과 양팔 끝에서 시작된 림프관은 겨드랑이로 모이고,
최종적으로 쇄골뼈 쪽에서 만나 정맥으로 들어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 림프 혈관의 기능
섭취하는 음식물, 체내 들어오는 독소, 세균, 지방세포, 물 등은 림프관을 통해 해독과정을 거친 후 체내로 들어가게 된다. 때문에 림프계는 ‘1차 해독기관’ 이다.
림프절이 이러한 해독작용을 할 수 있는 이유는 항체를 만드는 B세포와 이를 돕는 T세포가 다량으로 들어있기 때문이다.
림프계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체액과 함께 정체하게 된다.
림프선에 의해 흡수되는 양보다 축적되는 양이 증가하게 되면, 부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혈액과 조직 세포 사이가 멀어지면서 조직의 유지에 필요한 물, 단백질, 기타 영양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결국 축적된 부위는 조직을 두껍고 단단하게 만들어 부종을 더욱 악화시키며, 만성 염증이 지속되는 상태를 초래하게 되는 것.
정체되어 있는 조직액은 상처 치유를 지연시키고 박테리아, 바이러스가 배양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면역성이 떨어졌다는 말은 T세포와 B세포가 제대로 활동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림프계
◆ 림프계의 구조
-. 림프관과 림프절 그리고 갑상선이나 비장과 같은 림프 조직과 기관들로 구성
-. 림프관은 세포 사이의 모세관에서 시작되는데 이때 세포 간 조직을 채우고 있는 체액이 림프 모세관으로 들어와 림프액을 이루게 된다.
◆ 림프계의 명칭과 구분
림프계는 혈액과는 다르게 림프액은 근육수축, 호흡으로 발생하는 압력과 림프관 주위 기관들의 움직임에 의해 운반되며, 림프관 내의 판막은 림프액이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유지해 준다.
· 림프(Lymph) : 맑은 액으로 림프구(염증, 종양 증가를 막는 역할)와 혈장(혈액세포를 이동시키는 혈액의 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