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산물로 인한 세계적 인플레 현상 본문

Practical Comm/ing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산물로 인한 세계적 인플레 현상

ryumosa 2008. 2. 19. 14:24

 

 

 

 

 

1. Agflation의 원인
-. Agflation Agriculture 와 Inflation 을 합성한 용어. 
농산물가격이 인상하는 것은 수요와 공급 모두 원인이 있다.


-. 수요적 측면
   1) 중국. 인도 등 개발도상국의 인구와 소득이 증가하면서 식량으로서의 농산물 수요 크게 증가.

   2) 육식소비가 늘어나면서 소, 돼지등을 위한 사료용 수요 증가

   3) 고유가로 인한 바이오 대체 에너지 생산(옥수수. 사탕수수는 에탄올과 같은 식물성 대체에너지의 주원료)

 

-. 공급적 측면
   1) 미국. 브라질등 바이오에너지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늘리기 위해 옥수수. 사탕수수등 재배 증가

      - 옥수수값 상승으로 다른 작물(콩,밀 등)을 심을 곳에 옥수수를 심게 된다.
      - 콩을 비롯한 기타작물들의 생산면적이 적어지면서 생산량이 줄고, 옥수수를 비롯한 작물들의 가격이 급등하는 원인.

    2) 지구온난화로 인한 세계적 기상이변과 그로인해 세계적인 곡물생산량 감소

        (오스트레일리아·러시아·동유럽의 가뭄, 프랑스·독일의 수확기 폭우 등 지구 온난화와 기상여건 악화로 인한 작황 부진등)

    3) 세계적인 도시화, 사막화, 온난화로 인한 저지대 경작지의 감소등으로 재배면적 감소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 곡물 재배면적은 2007년 6847만ha로 1981년의 93% 수준으로 감소)

    4) 석유가격의 인상으로 인하여 직접적으로 곡물재배와 운송에 들어가는 비용 상승

 

-. 기타 : 투기자본 유입으로 곡물가격 급등

 

2. 에그플레이션 의 영향

     1) 곡물가격 인상은 고기류와 음식료의 인상으로 이어지고, 식당의 음식값등 석유가격인상과 함께 직접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원인 제공.

     2) 생활비 비중에 음식과 외식에 쓰이는 비용 증가로, 기타 비용지출을 억제하는 효과(교육비 / 여가 / 공산품 소비등)

     3)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인상

 

3. 식량안보의 중요성 및 정책적 시사점

     1) 식량안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급률 제고를 위해 노력할 필요(한국의 곡물자급률 28%)
         - 효율적으로 곡물자급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목표 설정

            (밀, 옥수수, 콩의 자급률이 저조한 상황에서 100%의 자급률을 유지하고 있는 쌀의 자급기반을 지키는 것이 중요)
     2) FTA와 DDA가 타결된 이후에도 식량안보 측면에서 쌀의 생산기반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필요.

         - 생산량 확보와 생산단가 인하를 위해 경쟁력 있는 농지를 확보 (새만금 개발시 충분한 농지 확보)

         - 기타 곡물자원 중 밀의 자급률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인 정책 수단

            (상대적으로 수입단가가 높고 식용으로 사용되는 우리 밀의 생산기반을 확대하는 것이 효과적)

     3) 소비측면에서도 쌀 위주의 한국식 식생활을 늘려서 국산농산물 소비를 촉진,

         -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 식량수입을 줄일 수 있도록 경제적인식품소비 생활 유도(현재 식품공급량의 1/3 정도가 폐기)

     4) 안정적으로 곡물자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외 농업자원 개발 (식량자원의 확보를 위해 해외농업생산기지 개발을 추진)

        - 세계 곡물시장에서 유통 장악력을 높이는 노력 요구

         (수출국의 곡물 유통기반시설을 직접 매입하는 방식으로 곡물 확보 / 선물시장 이용 제고)

 

- 자료 : 삼성경제연구소-

'Practical Comm >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英國 BBC의 幸福 헌장  (0) 2008.02.27
마음에 새기면 위안을 얻을 수 있는 문장  (0) 2008.02.27
보이는게 전부는 아니다  (0) 2008.02.19
추억의 OST  (0) 2008.02.15
'우생순'과 리더쉽  (0) 2008.02.1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