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92)
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이 글은 경험과 Reference / Source를 소재로 작성되었다. UPDATA_20230804 #. SCOBY는 배양균과 액종에서, 분류학상으로 같은 계통의 미생물체가 살아 있는 SCOBY에서 박테리아와 효모간의 균형과 상호작용으로 발효가 진행되면서 유기산*이 생긴다. * 유기산: 아세트산, 글루콘산, 젖산, 구연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 -. SCOBY에서 발견된 미생물, 발효 매개변수(시간 및 온도), 자당 농도, 사용된 차의 유형 및 정량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 아세트산 박테리아(Acetobacteraceae)와 삼투압성 효모가 설탕을 넣은 차의 발효로 생물막 생성 (효모가 당을 에탄올로 발효_박테리아는 에탄올을 산화시켜 아세트산을 생성_박테리아는 생물막을 생성) -. 효모와 박테리아는..
2023. 04. 25 #. 기초연금 _ 생활안정 지원, 복지 증진(「기초연금법」 제1조). #. 지급 대상자 -. 65세 이상 소득인정액 202만원 (부부가구_323.2만원) 이하 「기초연금법」 제3조제1항, 「령」 제4조제1항, 「세부기준에 관한 고시」(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 303호) ※ 소득인정액 1.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기초연금법」 제2조제4호) 2. 소득의 범위(「연금법」 제2조제4호 / 「령」 제2조제1항) 1) 근로소득: 「소득세법」 제20조제1항 2) 사업소득: 「소득세법」 제19조 3) 재산소득: 이자소득 / 연금소득 4) 공적이전소득: 「국민연금」, 「산재보험 등」, 법령에 따라 지급되는 금품 #. 소득인정 재산 범위(「법」 제2조제4호, 「시행령」 제..

이 글은 (임상)경험과 Reference / Source를 소재로 작성되었다. ‘22.11.15. ➤ 역류성 식도염 이 질환은 식도와 위를 연결해주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위에 있어야 할 음식물이 위산과 함께 역류하면서 발생한다. 위산*이 식도, 성대, 기관지와 인후두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그럼 ➤ ‘ 왜 위산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지 않고 역류하는가 ’ 식도와 위 사이엔 식도 괄약근이 있다. 이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는 등 이상이 있으면 시도 때도 없이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되돌아간다. 이때, 산도가 높은 위산이 함께 식도 쪽으로 올라가 식도 점막을 지속해서 자극한 결과가 역류성 식도염으로 나타난다. ➤ 주 원인은 위산이다. 때문에 제산제와 위산 억제제로 치료 한다(병원에 가면 ..

UPDATA_20221104 #. 이사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니다. 삼살 방은 모르면 모를까 일단 듣게 되면 찝찝한 것이 사실이다. 여기에 大將軍方까지 등장하면 이사 갈 만한 곳을 찾기란 정말 힘들어진다. 대장군 방은 八將神*이 관장하고 있는 여덟 방위를 말한다. 대장군은 동에서→남→서→북→동으로 시계방향(방위표시기준)으로 한방위에 3년씩 있게되고 원리는 방위합과 삼합의 관계를 기준으로 한다. 삼살방위는 한방위에 1년씩 머물며, 대장군과는 반대로 시계반대방향으로 동→북→서→남→동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삼살방위법은 삼합을 극하는 오행의 방위가 삼살방향이 된다. 또한, ※ 이사를 할 때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집의 방향은 주택은 대문이 기준이고 아파트는 거실이 있는 배란다나 발코니가 기준이 된다.(대문이나..

대 상 포 진 _ ‘면 역 력’ 과 골 든 타 임 72H’ ■ 붉은 반점, 수포 띠 모양 -. 초기에는 수포 없이 권태, 발열, 오한과 같은 감기몸살 증상, 피부에 바늘로 찌르는 듯한 증상이 보이므로 초기 증상을 기억하고 있다가 비슷한 증상을 경험한다면 의심해 보고 검진을 받아야 한다 ■ 의심증상 기억하고 72시간 골든타임 내에 치료받아야 -. 대상포진은 진단 시기가 늦어질수록 치료가 어려워질 뿐 아니라 신경 손상, 질환으로 인한 합병증 위험이 높아진다. 치료의 골든타임인 72시간 내에 진단을 통해 신속히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호전되더라도 이후 신경통, 이질통과 같은 합병증을 겪을 수 있다. 대상포진이 안면부에 발생했다면 안면 신경마비나 각막염, 시력손상 같은 합병증의 위험도 간과할 수 없..

■ 자기신체사고(자손) vs 자동차상해(자상) 자동차 보험은 보험가입이 강제되는 의무보험(대인I, 대물I)과 임의보험(대인II, 대물II, 무보험상해, 자기신체사고 또는 자동차 상해, 자기차량손해)로 구분된다. 자동차보험 담보 중에 피보험자가 자기 자동차를 관리하는 동안에 생긴 자동차 사고로 보상을 받는 자기신체사고담보와 자동차상해 특약담보가 있다. 자기신체사고는 상해 급수 한도 내에서 발생된 치료비만 보상하는 반면 자동차상해특약은 보험가입금액 한도 내에서 치료비ㆍ위자료ㆍ휴업손해액 보상한다. (자상은 자손의 대체특약으로 자상을 가입하면 자손은 삭제된다) 담보를 선택할 때 기준은 보험료와 보장범위가 가장 중요하다. 자동차 사고로 다치게 되면 부상정도에 따라 상해등급이 구분된다. 상해등급별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