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고정관념과 피해의식 / 자기가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행태" _ 심리작용 본문

Reference

"고정관념과 피해의식 / 자기가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행태" _ 심리작용

ryumosa 2013. 6. 30. 17:33

① 임신부는 약자라는 고정관념 _ ◇ 소비자는 약자라는 고정관념이 문제의 발단

"고정관념과 피해의식 / 자기가 믿고 싶은 것만 믿는 행태"


② 보고싶은 것만 보려는 선택적 지각 _ ◇ 믿고 싶은 것만 보인다 /  '선택적 지각, 선택적 주의'

 

선택적 지각이란 인간 개개인이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선택적으로 보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새로운 정보를 자신이 가진 고정관념과 갈등 없이 빠르게 처리하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선택적 지각을 하고 선택적 주의를 기울인다.

가령 사건을 보도한 기사에서 "아직 상황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라는 부분이 있음에도 이것을 보지 못하는 것이다.

 

③ 유명한 사람 말 따르는 자기 동조화 _ ◇ 유명한 사람이 믿는 것을 나도 믿는다

 

인간은 사안에 대해 판단을 할 때 다른 사람이 가진 의견을 적극적으로 참고한다.
자신의 의견이 없을 때는 자신의 지인이나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의 의견을 별 비판 없이 따르기도 한다.

바로 '자기 동조화' 현상이다.

건널목에서 파란불이 켜지지 않았음에도 옆에 있던 행인이 길을 건너면 무의식적으로 자신도 길을 건너게 되는 것도 자기 동조화다.

"잘 알려진 사람이거나, 자신이 좋아하는 사람이 하는 행동은 더욱 비판 없이 수용하는 경우가 많다"

 

 

④ 신념과 다른 정보는 무시, 확증 편향 _ ◇내 생각과 같은 정보만 받아들여

 

'확증 편향' _ 자신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는 받아들이고 신념과 일치하지 않는 정보는 무시하는 경향
"자기 생각과 일치하면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으면 비판적 태도를 보이며 확증 편향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선택적 지각은 무의식적 측면이지만, 확증 편향은 자신의 의식과 판단을 바탕으로 한다.

 


⑤ 같은 성향 사람끼리 모여 집단 극단화 _ ◇ '내 편'과 '네 편'을 구분하는 집단주의 사고방식

 

 '집단 극단화' _ 집단 극단화가 일어나면 추가로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이성적 검증이 진행되지 않는다.
"자신의 생각과 다른 여러 정보가 있었지만 이를 검증하는 과정은 일어나지 않는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