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부자되기 25가지 방법’ 본문
수학에 공식이 있고 바둑에 정석이 있듯 돈을 버는 것도 법칙이 있다. 생활 속에서 부가 만들어지도록 돕는 법칙이 필요하다.
◆ 종자돈 모으기 : 10% 룰
재테크의 시작은 종자돈 마련이다. 이를 위해 최소한 수입의 10%는 저축이나 투자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보통 일상에서 10% 룰만 지켜도 비교적 풍요로운 노후를 보장받을 수 있다.
또한 은퇴를 위해 최소한 급여의 10%를 저축해라. 저축시기가 늦어진다면 더 많은 저축이 필요하다.
일찍 저축을 시작할수록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 급여에서 떼놓아야 하는 금액이 적어진다. 시간이 지날수록 모아둔 금액이 불어나기 때문이다. 저축 시작 시기가 늦어진다면 저축할 금액도 더 커야 한다.
만약 50세부터 은퇴자금을 모으기 시작했다면 최소한 30% 이상을 저축해야 한다. 또 은퇴시기도 늦춰야 한다.
◆ 빚 관리 : 35% 법칙
빚 관리도 재테크의 중요한 부분이다.
많은 부자들이 빚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단기간에 부를 축적했다. 반면 빚을 잘못 써 패가망신한 사람들은 더 많다.특히 내집 마련에 나설 때 빚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런 경우라도 주택대출 원리금이 소득의 3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
주택대출을 포함한 모든 빚에 대한 상환금이 소득의 35%를 초과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 젊을수록 채권보다 주식에 투자하라 - 투자 자산 배분 : 120의 법칙
주식 시장은 단기적인 변동은 겪지만 장기적으로는 상승 추세를 이어오고 있다.
젊을수록 증시가 단기 급락하더라도 이를 만회할 충분한 시간적 여유가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갈수록 주식에서 자금을 빼 채권에 넣도록 하라.
투자 자산 배분(포트폴리오)에 황금비율은 없다. 연령대 등을 고려해 나이별로 적절한 포트폴리오를 꾸려야 한다.
투자 자산을 배분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120의 법칙'이다.
120에서 자신의 나이를 뺀 수치만큼 주식 등 공격적인 대상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안전 자산으로 보유하라는 것이다.
30세 직장인이라면 90%를 주식에 투자하고 나머지 10%를 채권이나 현금성 자산 등에 남기는 게 좋다.
50세 직장인은 주식 70%와 채권 30%의 비율로 안전 위주의 투자를 해야 한다.
우리사주 혹은 단일회사 주식 비중을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10% 이내로 제한하라.
우리사주 보유를 제한하라는 것은 최악의 경우 회사와 재산을 동시에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엔론의 경우에서 보듯 회사가 망할 경우 직장만 잃으면 될 텐데 주식까지 휴지가 된다면 고통은 더 클 것이다.
◆ 은퇴 준비 : 20배 원칙
은퇴 준비는 인생의 가장 중요한 재무 목표 중 하나다.
평균 수명이 갈수록 길어지는 데다 조기 퇴직이 일반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은퇴 준비는 젊은 사람들에게도 '발등의 불'이다.
'20배 원칙'은 은퇴 준비를 위한 기본 지침이다.
만일 은퇴 후 연간 4000만원의 생활비가 필요하고 이 중 국민연금과 퇴직연금으로 1000만원을 충당할 수 있다면 나머지 3000만원의 20배인 6억원을 은퇴 전에 모아놓아야 한다는 얘기다.
연 금리 5%를 가정할 경우 6억원이 있어야 매년 이자로 3000만원을 받을 수 있어서다.
만일 연 이자가 4%로 떨어진다면 필요한 노후 생활비의 25배를 은퇴 전에 마련해야 한다.
◆ 비상금 : 3개월의 원칙
꾸준한 재테크에 실패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는 예상치 못한 급전 때문이다.
최소한의 여유자금 없이 모든 돈을 1년 이상 금융상품에 넣거나 투자할 경우 가족의 병 등으로 급전이 필요할 때 손해를 감수하고 금융상품을 해약하거나 빚을 내야 한다.
이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해선 급한 용도에 쓸 수 있도록 비상 재원을 별도의 주머니에 넣어둬야 한다.
최소한 3달치 생활금 정도는 비상금 주머니에 넣어두는 게 좋다.만일 아이가 있다면 6개월치 정도의 생활비를 넣어둬야 한다.
비상금 주머니로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주는 MMDA(시장금리부 수시입출식 예금)나 CMA(자산관리계좌)를 고려해 볼 만하다
6. 부엌보다 화장실 수리를 먼저하라. 화장실이 깨끗해야 집 값을 제대로 받는다.
7. 모기지 재융자를 해야한다. 이자율을 1%포인트라도 내리면 가계에 도움이 된다.
8. 다운페이는 최소한 20% 이상하는 것이 좋다. 20% 미만은 모기지보험(PMI)을 필수로 해 이자율을 0.5%포인트 높인다.
9. 집을 고칠때 종업원 상해보험에 가입된 사람을 고용해야 안전하다. 보험 없이 집안에서 일하다 다치면 집 주인이 책임을 져야한다.
10. 401(k)에 가입하라. 투자하는 돈에 대한 세금은 은퇴 전까지 공제 받는다.
11. 주식에 투자하자. 장기간 투자시 연평균 주식 수익율이 10.5%로 가장 높다. 단기간 투자는 위험부담이 있다.
12. 뮤추얼펀드의 연회비는 총 투자금의 1%를 넘지 않는다.
13. 주식 투자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고 시작하라. 잘 모른다면 보험이나 헤지펀드로 눈을 돌려라. 어떻게 투자가 진행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 그 상품에는 투자하지 말라. 투자할 곳은 항상 넘쳐난다.
14. 세명의 자녀를 대학에 보낸다는 목표로 돈을 모으는 것이 좋다. 자녀가 실제 대학에 가면 금전적 여유가 저절로 생긴다.
15. 생명보험은 필수다. 갑작스런 죽음을 맞았을 때 배우자와 자녀에게 여유 자금을 남길 수 있다.
최소 5년치 급여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생명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배우자나 자신이 사망할 경우 나머지 가족들이 생활수준을 당분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정주부도 생명 보험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
16. 보험에 들을 때 본인 부담액(Deductable)을 최대한 높인다. 프리미엄을 최고 25%까지 절약할 수 있다.
17. 크레딧카드 빚은 제때에 매달 갚아라. 연체료를 최대한 피한다.
18. 신용 점수를 최대한 높이려면 각종 요금 청구서의 납입 날짜를 지키고 신용카드 한도액의 30% 이하만을 쓴다.
19. 소셜번호나 은행계좌번호를 절대 남에게 유출하지 않는다. 신분 도용 피해는 재산 손실과 직결된다.
20. 비행기 티켓은 최대한 일찍 구매한다. 비행 날짜가 가까워 질수록 가격은 올라간다.
21. 항공사 마일리지는 외국으로 나갈 때 사용한다. 국내선 가격이 250달러 이하라면 현찰로 사는 것이 이득이다.
22. 자동차에 투입되는 자금을 아끼려면 최근 출고된 중고차를 사서 폐차할 때까지 몰고 다녀라. 자동차는 출고된 첫해 가치의 30% 가량을 잃는다.
차에 많은 돈을 투자하지 않는다. 차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하는 것이 최고의 절약 방법이다. 집, 자동차 융자, 신용카드 등 대출로 갚아야 하는 돈은 연봉의 36% 이하를 유지한다.
2~3년 안에 차를 바꿀 계획이면 무조건 리스 차량을 선택한다. 수천달러를 아낄 수 있다.
23. 처음 나온 전자제품을 사지 말고 3~4개월간 기다려라. 시간이 지나면 전자 제품 가격은 하락하기 마련이다.
컴퓨터는 최신품을 사지 않는다. 3개월만 지나도 가격은 수십에서 수백달러 떨어진다.
24. 펀드 수수료로 지불을 아까워하지 마라. 펀드회사들은 좋은 주식을 편입하기 위해 연구비용과 경험있는 펀드 매니저들의 봉급과 같은 지출을 한다. 이러한 비용은 펀드 운용에 반드시 필요하다.
25. 자녀들의 대학 등록금의 3분의 1 가량은 미리 저축을 통해 준비해 둬야 한다.
나머지 부족분은 현재소득, 대출 등으로 보충한다면 자녀들의 대학 등록금을 충당할 수 있을 것이다.
'Practical Comm >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남 (0) | 2008.02.14 |
---|---|
머츄리얼리즘(Maturialism) (0) | 2008.02.12 |
권태 (0) | 2008.02.05 |
심리법칙 (0) | 2008.02.05 |
대장암 (0) | 2008.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