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칼레의 시민과 노블레스 오블리지 본문
칼레의 시민 [The Burghers of Calais]
1347년 도버해협 양쪽의 영국과 프랑스 사이에 벌어진 백년전쟁 때의 일이다.
1년 가까이 영국의 공격에 저항하던 프랑스의 북부 항구도시 Calais市는 원병을 기대할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백기를 들지 않을 수 없었다.
Calais시의 항복사절은 도시 전체가 불타고 모든 Calais의 시민이 도살되는 운명을 면하기 위해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에게 자비를 구하였다.
완강한 태도를 보이던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항복의 조건을 내 놓았다.
"좋다. Calais시민들의 생명은 보장하겠다. 그러나 누군가는 그동안의 어리석은 반항에 대해 책임을 져야만 한다. 이 도시에서 가장 명망이 높던 대표적인 시민 대표를 골라 목에 교수형에 사용될 밧줄을 목에 걸고 신발을 신지 않은 맨발로 영국군 진영으로 가서 도시의 열쇠를 건넨 후 목을 매 처형받아야 한다."
시민들은 기뻐할 수도 슬퍼할 수도 없었다. 누군가 6명이 그들을 대신해 죽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때 용감하게 6명이 선뜻 나섰다. 모두 그 도시의 핵심인물이며 절정의 삶을 누리던 부유한 귀족이었다.
Calais에서 가장 부자인 위스타슈 드 생 피에르가 가장 먼저 자원했다.
"자 Calais의 시민들이여...나오라...용기를 가지고..."
그러자 市長과 상인이 나섰다. 그의 아들도 나섰다. 드디어 일곱 명이 되었다. 한 사람은 빠져도 되었다. 생피에르는 "내일 아침 장터에 제일 늦게 나오는 사람을 빼자" 제의했고 이에 모두 동의했다. 그들의 고통의 밤은 그렇게 깊어갔다. 이튿날 이른 아침 여섯 명이 모였다. 그러나 생 피에르가 오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이미 죽어 있었다.
죽음을 자원한 사람들의 용기가 약해지지 않도록 칼레의 명예를 위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들이 처형되려던 마지막 순간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왕비의 간청(당시 임신중)을 듣고 그 용감한 시민 6명을 살려주었다.
그로부터 550년이 지난 1895년 Calais市는 이들의 용기와 헌신을 기리기 위해 생피에르에 조각상을 제작하기로 하고 조각가 로댕에게 의뢰했다.
이 작품이 바로
로댕은 이 작품을 완성하기 위하여 10년의 세월에 걸쳐 심혈을 기울였다. Calais시민들은 영웅적인 선조들을 아름답게 미화하여 굳센 영웅상으로 표현되기를 바랐으나 완성된 작품은 기대한 것과 같은 애국적인 늠름한 모습이 아니었다.
의연하기 보다는 공포에 질린모습을 하고 있다. 죽음에 대한 공포에 떨면서도 자신을 희생하겠다는 진짜 인간적인 모습을 그린 것이다. 6인의 인물은 칼레 시 함락에 대한 개인적인 딜레마에 고민하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고독하게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이 6명의 군상은 전체적인 통일 가운데 靜과 動의 요소가 교묘하게 교차되어, 각 개인의 표현이 평등하게 중요시되고 있다. 로댕은 파격적인 발상으로 인물들을 흩어지게 배열했으며 개성과 고뇌를 각자의 생생한 표정 속에 불어 넣었다.
비장한 슬픔으로 얼룩진 이 조각상은 오늘날 우리에게 Noblesse Oblige의 교훈을 남겨주고 있다.
「Noblesse」란 '고귀한 사람들'이라는 뜻한다. 사전적 의미에서 "혈통, 문벌, 공적 등에 의하여 일반 민중과는 다른 특별한 정치적·법제적 특권을 부여받은 사람이나 집단"을 말한다.
우리 사회에서는 제도적 지위가 높고 제도적 권력을 많이 가진 사람이면 Noblesse라 지칭할 수 있다. '제도적 지위'라고 할 때의 제도에는 정부, 학교, 언론, 기업 등 민간 제도도 포함된다.
BC 264년에 시작되어 BC 146년까지 이어진 3차에 걸친 포에니전쟁은 결과적으로 민족적 시련을 극복한 로마가 일개 도시국가에서 세계 제국으로 발전하는 전환점이 된 전쟁이다.
이 전쟁의 수행 과정에서 로마의 왕과 귀족들이 평민들에 앞서 보여준 솔선수범과 절제된 행동이 「Noblesse Oblige」의 전형으로 알려져 있다.
즉 전쟁 경비를 충당하기 위하여 귀족들은 자진하여 돈을 내었음은 물론, 평민들보다 먼저 전쟁터에 나가 목숨을 바치는 것을 최대의 영광으로 생각하였다.
이와 같은 귀족들의 솔선수범이 있었기에 명장 한니발이 버티고 있던 카르타고를 물리치고 로마는 세 차례의 전쟁에서 모두 승리하여 세계 제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확고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이러한 「Noblesse Oblige」의 미덕은 유럽의 중세와 근대 사회를 거쳐오는 동안 사회를 이끄는 지도층이 가져야 할 리더십의 전형적 속성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Oblige는 제도적으로 상층에 있는 사람들의 도덕성 구체적으로는 도덕적 양심과 도덕적 행동, 도덕적 의무감을 포함하는 의미한다.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을 양심에 따라 엄격히 구분하는 것이 도덕적 양심이며, 해야 할 일은 반드시 하고, 해서는 안 되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는 것이 도덕적 행동이다.
그리고 내 지위에 부여된 의무, 내 지위에서 수행해야 할 책임을 있는 힘을 다해 완수하는 것을 도덕적 의무감이라 한다.
일반 국민은 지위가 높고 권력을 많이 가진 계층만큼 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하였기때문에 사회를 향한 도덕성의 강요한 강한 충성심 그리고 희생정신을 갖기도 어렵거니와, 그러라고 요구하기도 어렵다. 수혜받은 것이 적은 것만큼이나 부패할 소지도 적기 때문이다.
'Practical Comm >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란체스터의 법칙 (0) | 2008.03.14 |
---|---|
파랑새 증후군 (0) | 2008.03.11 |
英國 BBC의 幸福 헌장 (0) | 2008.02.27 |
마음에 새기면 위안을 얻을 수 있는 문장 (0) | 2008.02.27 |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산물로 인한 세계적 인플레 현상 (0) | 2008.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