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비즈니스 글쓰기 / 글 잘쓰는 비결 본문
시간을 아끼고 설득력을 높이는 것이 핵심 경쟁력
-. 자신이 쓰는 글이 중요 / 차별화 된 내용 / 감명 받을 수 있는 내용인지 먼저 생각해야 한다. 따라서 항상 메모하고, 사전에 컨셉을 잡으며, 대상자를 파악하고, 자료조사를 많이 하여 가능하다면 1페이지 요약본으로 만드는 것이 좋다.
1. 관찰 / 기록
-. 관찰한 것을 카테고리화 하여 기록하는 것이 지식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 관찰이라는 것은 목적을 가지고 남과 다른 시각으로 보는 것을 말한다. 관찰은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해주며, 제안서나 보고서를 낼 때에도 풍부한 자료의 원천이 된다.
2. 컨셉
-. 정보 분석을 통해 제안서를 만들 때 무엇을 부각시켜야 할 지 정리한 후 내용을 작성해야 한다.
-. 비슷한 주제의 샘플을 조합하는 것과 분명한 목적의식을 갖고 생각을 전개시키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다.
3. 대상자
-. 대상자의 수준과 스타일 파악 (경영자‘설득’/ 중간관리자‘설명’/ 다수 ‘의사결정권자’)
-. 상대가 선호하는 문서 양식과 취향 등을 사전에 알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 준비
-. 글쓰기의 99퍼센트는 연구, 기획, 자료 조사에 할애해야 한다. 한 줄의 카피 속에 1천 페이지의 자료를 담을 수 있어야 한다. 좋은 재료가 있을 때 좋은 글쓰기도 가능하다.
5. 제목이 80퍼센트다.
-. 제목을 읽고 그것에 매료되면 시선은 자연스레 본문으로 이어지게 된다. 감각적인 제목은 상대방을 강하게 유혹할 뿐 아니라 본문 가독률을 높인다. 잘 만든 제목 하나가 휴지통으로 갈 제안서 전체를 살린다.
6. 결론을 먼저 써야 한다.
-. 비즈니스는 시간을 다투는 일이다. 그러다 보니 대부분 두괄식을 선호할 수밖에 없다. 핵심 제안이 세부 제안으로, 세부 제안이 보충자료로 이어지면 상대가 문서에 집중하기가 훨씬 쉽다.
-. 더불어 모든 비즈니스 보고서에는 먼저 Executive Summary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임원이나 고객은 바쁘기 때문에, 보고서의 핵심을 먼저 보고 전체를 읽을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7. 한눈에 읽게 해야 한다.
-. 비즈니스 글쓰기의 핵심은 ‘간결 명료함’ 이다. 복잡한 내용은 도표나 보기 쉽고 효과적인 이미지로 대체하고, 문장 역시 최대한 짧게 써야 한다. 물 흐르듯 읽어나갈 수 있는 글이 좋은 글이다.
8. 의미전달의 오류, 변질, 왜곡을 차단해야 한다.
-. 여러 가지 얘기를 한 문장에 전달하려고 하면 문장은 점점 복잡해지고 의미도 꼬이기 마련이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문장은 상대의 독해를 어렵게 만든다.
-. 주어와 술어 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단문을 사용해야 한다. 한 문장은 한 가지 뜻만 전달하면 된다.
[“좋은 글이란 쉽고, 짧고, 간단하고, 재미있는 글이다. 멋 내려고 묘한 형용사 찾아넣지 마라. 글 맛은 저절로 우러나는 것이다.”]
1. 주제를 장악하라. 제목만으로 그 내용을 전달할 수 있을 때 좋은 글이 된다.
2. 내용은 충실하고 정보는 정확해야 한다. 글의 생명은 담긴 내용에 있다.
3. 기승전결이 있어야 한다. 들어가는 말과 나오는 말이 문장에 생명을 불어넣는다.
4. 글 길이에 따라 호흡이 달라야 한다. 문장이 짧으면 튀고, 길면 못 쓴다.
5. 잠정적 독자를 상정하고 써라. 내 글을 읽을 독자는 누구일까, 머리에 떠올리고 써야 한다.
6. 본격적인 글쓰기와 매수를 맞춰라. 미리 말로 리허설을 해 보고, 쓰기 시작하면 한 호흡으로 앉은 자리서 끝내라.
7. 문법에 따르되 구어체도 놓치지 마라. 당대의 입말을 구사해 글맛을 살리면서 품위를 잃지 않는다.
8. 행간을 읽게 하는 묘미를 잊지 마라. 문장 속에 은유와 상징이 함축될 때 독자들이 사색하며 읽게 된다.
9. 독자의 생리를 쫓아야 하니, 가르치려 들지 말고 호소하라. 독자 앞에서 겸손해야 한다.
10. 글쓰기 훈련에 독서 이상의 방법이 없다. 좋은 글, 배우고 싶은 글을 만나면 옮겨 써 보라.
11. 피해야 할 금기사항. 멋 부리고 치장한 글, 상투적인 말투, 접속사.
12. 완성된 원고는 독자 입장에서 읽으면서 윤문하라. 리듬을 타면서 마지막 손질을 한다.
13. 자기 글을 남에게 읽혀라. 객관적 검증과 비판 뒤 다시 읽고 새로 쓰는 것이 낫다.
14. 대중성과 전문성을 조화시켜라. 전문성이 떨어지면 내용이 가벼워지고 글의 격이 낮아진다.
15. 연령의 리듬과 문장이란 게 있다. 필자의 나이는 문장에 묻어 나오니 말고 신선한 젊은이의 글, 치밀하고 분석적인 중년의 글을 즐기자.
[정신병자, 건축가, 목수, 판사(Madman, Architect, Carpenter, Judge) 이론]
1단계, 그냥 자유롭게 쓰라.
처음부터 잘 쓰려고 하면 절대 잘 못 쓴다. 처음에는 그냥 쓰는 것이다.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거침없이 적는다.
여기서 포인트는 한 번 시작하면 멈추지 않는 것이다. 일단 달린다. 마음 한 켠에서 자꾸, 이거 논리가 이상하지 않아, 글이 좀 그렇지 않아라고 해도 무시한다. 나중에 손보면 된다.
냉정과 열정 사이에서 열정으로 치우치라.
2단계, 버릴 걸 고르라.
근거가 불충분하거나, 주제에서 이탈했거나, 써먹기 어려운 녀석들을 버릴 차례다.
쇼핑하는 기분을 생각하면 된다. 세일한다고 해서 사려고 했지만, 생각해보니 별로 불필요한 거였다. 알고 보니 이건 집에 있는 물건이었다. 일단, 집으로 가져갈 아이템을 고른다.
3단계, 이젠 집을 짓자.
선별된 재료들의 논리적인 순서들을 만든다. 이때 필요한 것은 과연 이 문장이 말이 되는 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논리가 억지가 되면, 집이 무너진다. 독자보고 집으로 들어오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4단계, 사소한 것까지 따지라.
오탈자, 비문을 포함한 전체적인 ‘스타일’의 문제를 개선할 차례다.
글의 완성도가 높아지는 건 이 때다.
Tip
1단계는 감정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무드’를 갖춰놓는 게 좋다. 음악이 됐든, 장소가 됐든, 자신에게 ‘영감’이 오는 환경을 만들라.
2단계부터는 정신과 체력이 멀쩡해야 한다. 먹을 것도 충분히 먹고, 가급적 새벽이나 밤늦은 시각부터는 오전이 좋다.
3단계, 4단계에서 정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여기서부턴 글과 같이 먹고, 자고 해야겠단 각오가 필요하다. 그러나 글의 재료가 아무리 좋아도, 요리가 엉망이면 결국 엉망이다. 이 때 최선을 다해야 좋은 글이 나온다.
[글 잘쓰는 방법]
1. 이미지를 그려라.
-. 글을 쓰면서 끊임없이 머릿속으로 이미지를 그려본다. 인물, 행동, 장면 무엇이 됐든 자신에게 생생하게 그려지면 독자들도 똑같이 느낄 것이다.
손과 머리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자신이 본 이미지는 독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런 현상은 무의식적으로 일어난다. 글을 쓸 때 머릿속으로 이미지를 그리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이미지에 부합하는 단어가 튀어나온다.
또 한가지는 독자를 상상해 보는 것이다. 독자를 미리 알고 있다면 더 할 나위 없이 좋다. 모를 땐 적당한 독자의 이미지를 떠올려라. 바로 그 한사람을 상대로 글을 쓰면 효과가 있다.
2. 한 사람을 상대로 써라.
-. 대중을 상대로 글을 쓰려 하면 부담스럽다. 절대로 다수를 상대로 쓰지 마라. 한 사람을 상대로 글을 써라. 개개인을 상대로 글을 쓰면 독자와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다.
당신 글을 읽는 사람이 수천 명이 된다 해도 정작 한 사람 한 사람은 그 글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일 뿐이다. 마치 편지를 쓰듯 한 사람을 상대로 글을 쓰면 글 속에 자연스럽게 자신만의 아우라가 발산된다.
3. 흥분하라
-. 글을 쓸때 자신이 전달하려는 주제를 온 몸으로 느껴라. 그리고 감정을 실어라. 편안한 사람과 만나 이야기를 할 때 사람들은 손짓 발짓을 하고 눈을 크게 떴다 찡그렸다, 목소리를 낮췄다 높여다 하며 다양한 감정 표현을 한다.
이야기에 활기가 넘친다. 그러나 똑 같은 이야기를 글로 쓰라면 점잖아지곤 한다. 결과는 안 봐도 뻔하다. 글에도 흥분된 감정을 표출하라. 억누르지 마라.
감정을 느껴라. 자신이 감동을 받아야 독자들도 감동을 받는다.
4. 요점을 집어라
-. 글을 쓸 때도 말하고 싶은 것을 말하되 필요 없는 단어, 필요 없는 문장은 과감히 버려라. 웬만큼 재미있고 간단하지 않으면 금세 싫증을 내는 아이들이 독자라고 생각하면서 글을 쓰면 누구라도 만족시킬 수 있다.
5. 평가하지 마라
-. 글을 쓰는 당사자는 자신의 글이 훌륭한지 부족한지 평가할 수 없다. 결정권은 독자에게 있다. 최선을 다해 쓰고, 멋지게 마무리하되 평가는 독자에게 맡겨라. 그리고 독자들이 평가하는 동안 새로운 글쓰기에 몰입하라.
자신의 글을 평가하다 보면 일의 진척이 느려진다. 당신이 자신의 글을 구매할 일이란 없다. 그러니 당신의 글을 구매할 사람들에게 평가를 맡기자.
글을 쓸 때는 내면의 편집자 말을 듣지 마라. 당신이 할 일은 그냥 쓰는 것 뿐이다.
- <꽂히는 글쓰기 (Hypnotic Writing)> -
'Manag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케팅 불변의 법칙 (0) | 2014.03.20 |
---|---|
면접의 LOGIC (0) | 2014.02.03 |
심리학이 만드는 무의식을 이용한 마케팅의 법칙 _ 본전 찾으려다 더 큰 손해본다. (1) | 2013.08.31 |
효과적인 회의 방식 (0) | 2013.08.26 |
불황기 사업계획 수립 (0) | 2013.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