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What is LSS ? 본문

Practical Comm/ing

What is LSS ?

ryumosa 2007. 11. 9. 13:45

LSS(Lean Six Sigma) 정의

-. "전략과 연계"된 과제를 선정하여 고객만족, Cost, 품질, Process Speed 를 신속하게 개선함으로써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는 방법론(중장기 경영혁신 활동).

 

-. Key Word : "측정할수 없는 것은 개선할수 없다"

 

-. Lean은 TPS의 Tool에 Stratery 개념을 포함.

   (Vision과 전략목표를 Stretch를 통해 정량화하고 Y + 3년의 혁신목표를 수립 -> 혁신 Masta Plan 수립)

   1. 린 태동 배경- TPS의 한계 극복

      1) 구체적인 진행 로드맴이 없음

      2) TPS활동이 경영연계가 안됨(정체현상 발생)

      3) 기업환경 변화에 대한 경영 차원에서의 대응력 부족

 

   2. 린 기본 원칙 : 완전무결 추구 < 가치창출을 위한 낭비의 지속적 개선 >

       1) 고객가치 규명 : 고객 Needs와 Cost에 의해 결정 / 모든 일에 대한 판단기준

       2) 가치흐름 정의 : 가치흐름은 제품과 스버스를 창출하는 모든 활동 의미

       3) 1개 흘리기 : Value Flow - 부분 체적화에서 전체 체적화 개념 필요

       4) 당기기(Pull) : 변하는 고객요구에 즉각 대응 위해 Cycle Time 단축

 

   3. 린의 한계점

       1) 고객관점에서의 CTQ 개념이 없음 

       2) 과학적 방법에 의한 통계적 산포개선 Tool 부족

       3) 기업의 혁신문화 조성 한계

       4) 체계적인 혁신 인프라 구축방법의 한계

 

-. 6시그마

   1. Michel Harry : 통계지식을 활용하여 6시그마 기법 개발

       1) 80년대초 모토로라에서 일본의 포켓벨(무선호출기)과의 품질격차로 인한 위기감에서 출발

       2) 공학적 기법에 의학 data 해석기법 개발 -> 6시그마 관련기술 체계화

 

   2. GE의 6시그마

       1) 품질향상을 위해 강도 높은 조치의 필요성 인식

       2) 6시그마는 입증된 품질 개선 방법

       3) 고객 중심의 품질개선 추진

 

   3. 6시그마의 한계점

       1) 비젼 및 경영전략과 연계되는 과제도출 부족 (현장 품질문제 중심의 소과제 수행)

       2) NVA에 대한 관점이 없음 (VA에 대한 산포개선 활동 주력 )

       3) 프로세스 속도 개선의 한계

       4) 강한 실행력 부족 (긴 활동기간과 전문적 통계방법 적용)

 

LSS(Lean Six Sigma)

 

   1. 린과 6시그마 통합

       1) 린과 6시그마는 각각은 강력한 Tool임에도 불구하고 린의 Speed향상은 Quality에 6시그마의 Quality향상은 Speed에

           상호 보완 상승적 관계

       2) 6시그마의 범위 : culture와 infra구축 / 고객 CTQ선정과 집중 / 변동에 대한 관심 확대

       3) 린 범위 : strategy연계 / NVA와 Waste제거 / speed와 CT개선 / speed단축 tool / 신속한실행

 

   2. 린6시그마 추진 범위 :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기업전략 달성과 강한 실행력을 추진범위로 함

       1) 경영철학(philosophy) : 현명하게 일하는 자세 / 기업비젼과 문화 변화

       2) 기업전략(business strategy) : 경영전략과 연계된 혁신과제 도출

       3) 강한실행(strong doing) : 통계적기법 / Belt육성 / 프로세스 개선 / 혁신실행문화 

   3. 린6시그마 전개 Process : 비젼 및 경영전략으로부터 순차적 전개를 통하여 Big Y와 실행과제를 도출하여 강한

                                                   실행력과 통계기법을 근간으로 추진.

       1) 비전/경영전략(혁신목표 설정) : 비젼및 경영전략 명확화, 사전 인터뷰 조사

               -.  사업환경 분석 : 거시적, 미시적 분석(3C + FAW, SWOP활용)

               -.  혁신목표 구체화 : KPI 설정 - StrechGoal ( 경쟁사 추월하는 Y + 3 혁신목표 설정)

       2) 혁신방향 설정(Big Y도출)

              -. 혁신 목표 의미 및 Bottleneck 분석

              -. To - be Image와 Key Innovation Point 도출

              -. Big Y (혁신과제) 도출 : Big Y - M과 Big Y - O 연계

       3) 과제 선정

              -. Big Y Drill - Down : Logic Tree 적용 [Big Y > Little y > 실행과제 도출]

              -. 우선순위 결정

       4) 활동리더 선발(실행)

              -. 활동리더 선발 : BB과제, GB과제

              -. 활동 계획 수립(제품군, 부문단위)

              -. 활동개시(Kick-off)

 

   4. Big Y 정의

      : Big Y란 고객에 대한 Impact가 크고 자사의 경영성과 및 프로세스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경영의 전략적 Issue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점 혁신 과제를 의미.

 

 

 

 

 1. MSA(Measurement System Analysis)란? 
-. 측정시스템에 의해 산출된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산포의 근원을 이해
-. 인자나 제품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조작(Operation), 절차(Procedure), 계측기(Gage), 장비, 소프트웨어 및 이를 운용하기 위한 사람(Operator) 등 측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구성 요소의 집합체에 대한 분석
-. 측정장비 분석(MSE/Gage R&R) - 측정장비의 안정성과 시스템 오차규정 충족 여부 결정

2. MSA 5가지 변동유형
1) 치우침 : 정밀한 계기를 사용한 동일 부품의 Master 평균(치우침)과 측정값의 평균과의 차이
2) 반복성 : 동일한 시료를 동일한 측정자가 여러 번 측정하여 얻어진 DATA의 산포 크기를 말하며 산포 크기가 작을수록 반복성이 좋아진다. 동일 시료에 대하여 장비 자체가 갖는 산포 EV = 5.15 × e, e 는 장비 값들의 표준편차
3) 재현성 : 동일한 계측기로 두 사람 이상의 다른 측정자가 동일 시료를 측정할 때에 나타나는 측정 Data의 평균값의 편차를 의미하며 차이가 클수록 재현성이 떨어진다. 동일 시료에 대하여 장비간 또는 작업자간의 산포 차이 AV = 5.15 × o, o 는 장비간 또는 작업자간의 표준 편차
4) 안정성 : 동일한 측정시스템으로 동일한 시료 혹은 부품의 특성을 정기적으로 측정 했을 때 얻어지는 측정 값의 변화, 중 산포를 말한다. 이는 시간의 경과에 다른 측정 시스템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관리도 또는 경향도(Trend Chart)로서 평가된다.
5) 직선성 : 측정시스템의 작업 범위 내에서 참값과 측정값의 차이 즉 치우침 (Bias)의 크기가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고 변할 경우 그 변화의 차이를 말한다. 직선성의 적합성은 회귀직선의 결정계수(R )로서 판단한다. 직선성 = 기울기(Slope) × 공정산포(Process Variation)

3. MSA 적용순서
1) 측정 되어야 할 특정치와 측정 도구의 결정
2) 측정시스템(인원, 결과, 측정횟수, 방법) 결정
3) 측정 실시 후 Data Sheet에 기록
4) 특정치에 대한 측정시스템의 검증실시

5) 측정 시스템 평가(판정기준 적용) 

'Practical Comm > 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알아야 할것은 아버지에게서 배웠다.  (0) 2007.11.12
뇌 편향성 검사  (0) 2007.11.10
TOYOTA WAY - People and Production  (0) 2007.11.07
아름다운 음악과 충만한 삶을 위해  (0) 2007.11.07
Salut d'Amour  (0) 2007.11.0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