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92)
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눈 내리는 겨울 밤 너를 위해 나의 인생을 말해 주고 싶다. 어려운 날이 많긴 했지만 행복한 날도 많았다. 갈길은 늘 멀리있지만 이만큼 떠나와 한 겨울 밤을 지낸다. 눈 내리는 창가에 앉아 오늘도 한잔의 술을 마시며 길고 긴 꿈속 같은 시를 읽어주고 싶다.
Proud Mary / C.C.R keep on running / Tom Jones Stoney / Lobo Sweet Caroline / Neil Diamond Knock Three Times / Tony Orlando & Dawn The green green grass Of Home / Tom Jones Anything that's part of you / Elvis Presley time /glen campbell Changing Partner / Patty Page Visions / Cliff Richard moon river / andy williams Devil Woman / Cliff Richard Be Bop A Lula / John Lennon Pledging My Love / Emmy..
Why does my heart keep yearning Knowing that's now we're turning what can I build a dream on To live without your love Why must I keep pretending I see your happy ending What can I build a dream on To live without your love Yet still I go on hoping You'll come to me at last It seems some only groping for something that is past Woe I may keep on trying Slowly my heart is dying What can I build a..
기러기들이 V 자를 그리면서 나는 것에 대해 ........과학은 이렇게 밝혔다. 각각의 새가 날개를 저으면 그것은 뒤에서 따라오는 새를 위해 상승기류를 만들어 준다. V 자를 그리며 날아감으로써 전체 기러기 무리는 각각의 새가 혼자서 날아가는 것보다 최소한 71퍼센트의 더 넓은 거리를 날 수가 있게 된다. 한 마리의 기러기가 대열에서 이탈하면 그 순간 그 기러기는 대기의 저항력을 느낀다. 그래서 기러기는 재빨리 대열에 합류한다. 앞서 가는 새의 추진력에 의해 도움을 받기 위해서이다. 대열의 맨 앞에서 날아가는 기러기가 지치면 뒤쪽으로 물러나고 금방 다른 기러기가 앞장선다.뒤쪽의 기러기들은 앞서 가는 기러기들이 속도를 유지하도록 힘을 북돋우기 위해 계속해서 울음소리를 낸다. 어떤 기러기가 대열에서 낙오되..
마음먹고 시작한 일을 삼일을 넘기지 못해 포기하게 되면 ‘또 어겼군!’ 하는 생각에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지 못함으로 해서 거짓말을 했다는 죄책감이 든다. 그런데도 반복적으로 작심삼일을 되풀이하는 이유는 구습에 안주함으로서 그전의 편안함으로 돌아가려는 ‘구습안주력’ 때문이리라. 작..
1. Tombe La Neige-Paul Mauriat 2. Snow Frolic-Francis Lai 3. First Snow-V.A. 4. Let It Snow, Let It Snow, Let It Snow -Kenny G 5. Snow In The Morning -Andante
• 호적법 대체 법률의 제정 - 2007.4 27. 호주제 폐지에 따른 대체법으로 「가족관계 등록 등에 관한 법률」 제정, 2007.5.17. 법률 제8435호로 공포 / 2008. 1. 1.부터 시행 • 법률 통과 및 시행의 의의 - 2005년 헌법불합치 결정 및 민법 개정으로 호주제 폐지 후 家 중심의 호주제를 대체할 새로운 ..
1. 가르시아 효과(Garcia Effect) 먹는 행동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 사이에는 시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지만, 그들 사이에는 일정한 인과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 닭고기를 먹고 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후에 배탈이 났다고 하더라도 닭고기와 배탈 사이에는 인과관계가 성..
사람의 몸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를 세포(cell)라 한다. 정상적으로 세포는 세포내 조절기능에 의해 분열하며 성장하고 죽어 없어지기도 하며 세포수의 균형을 유지한다. 어떤 원인으로 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치료를 받아 회복하여 정상적인 세포로 역할을 하게되나 회복이 안 된 경우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