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95)
글이란 체험과 사색의 기록이다
2025.07. 07. √ 남자는 여자를 책처럼 생각한다. 표지가 눈에 띄지 않으면 속 내용을 읽어보려 하지도 않는다. 옷차림은 그냥 겉모습이 아니라 상대와의 첫 번째 대화다. 나를 존중하게 만드는 옷을 입어라. 자기만족과 함께. 말보다 먼저 전해지는 건 표정과 태도, 그리고 옷이다. 겉모습은 마음의 힘이자, 관계의 시작이다. 예쁘게 입어야 하는 이유다> √ 이제는 모르면 뒤쳐진다. 두렵기 때문에 새로운 현상에 눈 감고 있다. 그렇다고 세상이 함께 눈감아 주는 일은 없다. 달리는 말에 올라 타든지 아님 . . . 경제적 자유를 실현할 마지막 기회 Nothing is easy in this world. √ “We did it.” 지금 하고 싶은 ..
2025. 06. 10. √ 기억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 기억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시기는 지난 듯하다. 책을 읽고나서나, 기억해야 될것들은 적어놓아야 한다. "기억하고 있다는 착각" 기억은 과거일에 대한 사실이 아니다. 기록이 아닌 해석이다. √ 만남은 인연이고 관계는 노력이다. √ 고양이는 한 번 난로에 데이면 그 난로가 차갑든, 뜨겁든 곁에 가지 않는다. 토끼를 잡을 땐 귀를 잡아야 하고, 닭은 날개를, 고양이는 목덜미를 잡으면 되지만, 당신은? 멱살을 잡히면 싸움이 날테고 손을 잡히면 뿌리 치겟지. 그럼 어디를? √ 『미움받을 용기」에서 ‘에네르게이아’를 발견했다. 공을 치는것이나 여행처럼 목적의 완성보다는 과정 자체를 결과로 보는 인생. ..
25025.05.10 √ 감정은 머리가 아니라, 몸이 먼저 반응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장은 빨라지고, 불안을 느끼면 배가 아프다. 이건 신경계의 방어 반응이다. 특히 근육, 그리고 어깨, 턱, 가슴, 골반… 이 긴장한다. 그래서 몸의 긴장을 풀어야 한다. 천천히 호흡하고, 가벼운 스트레칭, 그리고 여유 필요한 건 그거 하나면 충분하다. 몸을 바꾸면, 마음도 따라 변한다. 걸음걸이를 여성스럽게, 자세를 반듯이, 몸깡에서 탈출하자. √ 인상은 표정을 통해 만들어 지고 마음이 표정과 인상을 좌우한다. 좋은 인상은 눈과 입, 마음과 표정이 동시에 웃으면서 호감과 신뢰를 주는 상을 말한다. 특히 눈과 입이 함께 웃어야 편안하고 기분 좋은 느낌을 줄 수..

이 글은 경험과 Reference / Source를 소재로 작성되었다. UPDATA_20230804 #. SCOBY는 배양균과 액종에서, 분류학상으로 같은 계통의 미생물체가 살아 있는 SCOBY에서 박테리아와 효모간의 균형과 상호작용으로 발효가 진행되면서 유기산*이 생긴다. * 유기산: 아세트산, 글루콘산, 젖산, 구연산, 말산, 타르타르산 등 -. SCOBY에서 발견된 미생물, 발효 매개변수(시간 및 온도), 자당 농도, 사용된 차의 유형 및 정량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 아세트산 박테리아(Acetobacteraceae)와 삼투압성 효모가 설탕을 넣은 차의 발효로 생물막 생성 (효모가 당을 에탄올로 발효_박테리아는 에탄올을 산화시켜 아세트산을 생성_박테리아는 생물막을 생성) -. 효모와 박테리아는..
2023. 04. 25 #. 기초연금 _ 생활안정 지원, 복지 증진(「기초연금법」 제1조). #. 지급 대상자 -. 65세 이상 소득인정액 202만원 (부부가구_323.2만원) 이하 「기초연금법」 제3조제1항, 「령」 제4조제1항, 「세부기준에 관한 고시」(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 303호) ※ 소득인정액 1. 소득평가액과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합산한 금액(「기초연금법」 제2조제4호) 2. 소득의 범위(「연금법」 제2조제4호 / 「령」 제2조제1항) 1) 근로소득: 「소득세법」 제20조제1항 2) 사업소득: 「소득세법」 제19조 3) 재산소득: 이자소득 / 연금소득 4) 공적이전소득: 「국민연금」, 「산재보험 등」, 법령에 따라 지급되는 금품 #. 소득인정 재산 범위(「법」 제2조제4호, 「시행령」 제..

이 글은 (임상)경험과 Reference / Source를 소재로 작성되었다. ‘22.11.15. ➤ 역류성 식도염 이 질환은 식도와 위를 연결해주는 하부식도괄약근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위에 있어야 할 음식물이 위산과 함께 역류하면서 발생한다. 위산*이 식도, 성대, 기관지와 인후두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그럼 ➤ ‘ 왜 위산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가지 않고 역류하는가 ’ 식도와 위 사이엔 식도 괄약근이 있다. 이 괄약근의 조이는 힘이 약해지는 등 이상이 있으면 시도 때도 없이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되돌아간다. 이때, 산도가 높은 위산이 함께 식도 쪽으로 올라가 식도 점막을 지속해서 자극한 결과가 역류성 식도염으로 나타난다. ➤ 주 원인은 위산이다. 때문에 제산제와 위산 억제제로 치료 한다(병원에 가면 ..